1. CD-ROM 또는 USB 포트가 부트 순서 제일 위에 있는지 확인한다.

CentOS 7.4가 들어있는 CD또는 USB를 꽂은 후 부팅 or 재부팅하기.

 

install 걸어두고 인고의 시간을 보내 .. 진짜 이 과정에서 이거 20분은 설치하는듯 ..

유의하며 아래 내용 설정하기,

 
  1. (디스크)파티션
  2. 호스트네임, ip 주소
  3. 현재 시간
  4. root 비밀번호
  5. GUI 설정 (이거 설정 안 해서 두 번 설치를 두 번 했다, 80분 설치할 거 160분 설치했다는 소리 ~)

2. 설정 완료 후 다시 인고의 시간을 보내 .. 여기서 마저 20분해서 OS 설치만 총 40분이지롱 ^0^ ~

6. 설치 완료 후 내부 PC에서 putty로

접속해서 마저 (시간이나 로컬호스트 네임 등)설정 진행한다.

이 서버 같은 경우엔 언더라인이 있는 호스트 네임으로 설정이 안 돼서 부팅이 된 후 이름을 안에서 다시 바꿔줘야 한다. (왜 시키는 대로 했잖아.)

수은 전지가 나갔는지 재부팅할 때마다 시간도 날라가서 매번 다시 설정해줘야 됨.

근데 웃긴 건 내가 10번 정도 켰다 껐다 해주면서 시간 초기화되는 건 고쳤다 .. 정신이 좀 드니 .. ?

여담이지만 혹시라도 티베로 아래랑 똑같은 오류 있는 분 시간 설정해보시길 ^^

[tibero@db_02 config]$ tbboot nomount

 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
* ERROR: License start time is in the future!!

* (8) Check the license file - /home/tibero/tibero6/license/license.xml

 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
그 뒤로 아파치도 깔아보고 티베로도 깔아보고 하시면 나만의 작은 서버 구축 끝 ~~

참고로 개발도 해서 사이트 만들어볼까 했는데 한 달 이상 걸릴 거 뻔하고 무엇보다 내용 다 잊어서 못 함 ^^ ..

 

가끔 터미널에 'you have new mail in /var/spool/mail/root' 이런 글귀가 적혀있을 때가 있다.

내 경우엔 크론탭 설정이랑 계정 로그인 때문에 왔었다 .. ㅎ

# 메일을 읽는 명령어
cat /var/spool/mail/root
# 메일을 삭제하는 명령어
cat /dev/null > /var/spool/mail/root

 

1. 시스템의 하드디스크 상태 확인하는 법

 

1-1. lsblk명령어 사용하기

lsblk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에 연결된 블록 장치(디스크 및 파티션)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이 명령어는 디스크와 파티션의 구조를 트리 형태로 보여줍니다. 포맷된 파티션과 포맷되지 않은 디스크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.

 

1-2. fdisk명령어 사용하기

fdisk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와 파티션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각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을 확인해 보세요:

이 명령어는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을 보여줍니다. 포맷되지 않은 디스크는 파티션이 없는 상태로 나타납니다.

 

1-3. parted명령어 사용하기

parted는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는 도구입니다.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:

이 명령어도 디스크와 파티션 정보를 표시해줍니다.

 

2. 하드디스크 상태 추가 확인

 

2-1. 디스크 포맷 상태 확인

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blkid명령어를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.

이 명령어는 각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유형을 보여줍니다. 파일 시스템이 없는 파티션은 "TYPE=" 필드가 빈 상태로 표시됩니다.

 

2-2. 디스크 사용 현황 확인

디스크 사용 현황 확인:df -h명령어로 현재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현재 마운트되지 않은 파티션은 df -h에서는 표시되지 않습니다.

2-3. 파일 시스템 생성 및 마운트

만약 sdb1, sdc1, sdd1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고 마운트하고 싶다면, mkfs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ext4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:

 

예시) 파일 시스템 생성

exe4 파일 시스템 생성

mkfs.ext4 /dev/sdb1

mkfs.ext4 /dev/sdc1

mkfs.ext4 /dev/sdd1

 

xfs 파일 시스템 생성

mkfs.xfs /dev/sdb1

mkfs.xfs /dev/sdc1

mkfs.xfs /dev/sdd1

 

3. 파일시스템 생성 방법

 

3-1. mkfs.xfs 명령어 사용법

XFS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mkfs.xfs 명령어를 올바르게 사용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이 sdb 디스크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려면
mkfs.xfs /dev/sdb

하지만, sdb는 전체 디스크를 가리키며, 디스크 전체에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것보다는 보통 파티션을 만들어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.

4. disk로 파티션 생성

fdisk를 사용하여 sdb에 파티션을 만듭니다.

 

4-1. fdisk 내에서 다음 명령을 차례대로 입력합니다.

fdisk /dev/sdb

 

4-2. n키를 눌러 새로운 파티션을 만듭니다.

Command (m for help): n

 

4-3. p키를 눌러 주 파티션을 선택합니다.

Partition type:

p primary (0 primary, 0 extended, 4 free)

e extended

Select (default p): p

 

4-4. 파티션 번호 1을 선택합니다.

Partition number (1-4, default 1): 1

 

4-5. 시작 섹터와 마지막 섹터를 기본값으로 설정합니다(그냥 Enter).

First sector (2048-20971519, default 2048): (Enter)

Last sector, +sectors or +size{K,M,G} (2048-20971519, default 20971519): (Enter)

 

4-6. w키를 눌러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종료합니다.

Command (m for help): w

이제 새로운 파티션이 생성되었고, /dev/sdb1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 

5. 파일 시스템 생성 및 마운트

이제 /mnt/sdb1 디렉토리에서 새로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
개인적으로 공부한 건데 gpt를 사용하고 회사에 문서로 저장한다고 평소랑 문체가 많이 다르다 ..

+ Recent posts